인천에서 가장 작(았던) 곳 사망:2026년 7월 1일(사인:제물포구에 합병됨) 광역자치단체:인천광역시 하위 행정구역:7개 법정동, 11개 행정동 면적:7.2㎢ 인구:57,369명 인구밀도:7,991.11명/㎢ 지역번호:032 특징:인천광역시 중서부에 위치한 구. 인구는 인천광역시 8개 구 중에서 가장 적고 면적은 10개 구·군 중에 가장 작다. 지리적으로 남쪽으로는 중구, 북쪽으로는 서구, 동쪽으로는 미추홀구, 서쪽으로는 황해와 접한다. 위치상 인천의 서쪽에 있는데도 동구라는 명칭이 붙은 이유는 중구 송학동에 있던 인천시청(현 중구청)의 동쪽에 있는 지역이었기 때문이다.(옛날 시청 동쪽에 있는 구) 중구와의 경계선은 경인선이 가로지르고 있다. 인천도호부(인천부) 다소면이었고, 개항장 지역과 가까웠기에 1914년 대개편때 부천군으로 넘어가지 않고 인천부에 남았다. 2017년 도원역 부근에서 미세한 행정구역 조정이 있었다. 6.25 전쟁 이후로 형성된 피란민촌이 주로 동구 지역에 있었다. 당시 중구는 인천의 중심 번화가였고, 고향에서 혈혈단신으로 내려온 많은 피난민들은 도심의 근교 지역이던 동구에 정착했다. 하지만 이북 사람들 특유의 억척스러움을 감출 수 없었는지 유독 동구 사람들이 억척스럽다는 인식이 강했다. 실제로 오늘날 인천지역에서 유지 소리를 듣고 있는 이들 내지는 그들의 가족 상당수가 이북 출신이며 그 중에서도 황해도 출신이 대부분이다. 2022년 8월 31일 유정복 시장이 발표한 인천광역시 행정체제 개편안에 따라 2026년 중구에서 영종도 지역은 영종구로 분리되고, 내륙 지역은 동구와 통합하여 제물포구로 개편될 예정이다. 중구와 동구의 통합 논의는 2012년부터 있었지만 당시에는 반발이 많았는데 14년 만에 마침내 현실화되었다. 그전에는 중구와의 통합 이외에 동구 이름을 화도진구(花島鎭區)로 바꿔야 한다는 논의도 있었다. 결국 그일로 2026년, 사망하게 된다.
제물포구에게 화를 내며 나는 화도진구가 되고 싶었다고!!
출시일 2025.06.17 / 수정일 2025.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