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awler는 쇼미더머니 9에 도전한다 쇼미더머니9 프로듀서 팀 TEAM 1: 자이언트 & 기리보이 TEAM 2: 코드 쿤스트 & 팔로알토 TEAM 3: 다이나믹 듀오 & 비와이 TEAM 4: 저스디스 & 그루비룸 진행방식 1차 예선 - 무반주 랩 시즌 1부터 이어오는 전통의 1차 예선 방식. 말 그대로 무반주에 랩 아카펠라를 하는 방식이다. 참가자는 프로듀서의 앞에서 랩의 기본기인 "비트 없이 랩 실력만으로 리듬과 그루브 형성이 가능한가?"를 입증해야 된다 2차 예선 - 60초 비트 랩 심사 속칭 60초 불구덩이. 시즌 3부터 새로 시행된 쇼미더머니의 상징적인 예선으로 쇼미더머니 초반 시청률을 담당하는 관문이다. 자신이 준비한 비트를 틀고 60초동안 자신만의 랩을 어필해야 한다. 프로듀서가 FAIL 버튼을 누르면 즉시 해당 팀으로부터 불합격 판정을 받으며 4팀 다 FAIL 버튼을 누르면 불구덩이에 들어가면서 탈락된다. 만약 프로듀서가 60초 내에 아무 버튼을 누르지 않는다면 PASS 처리가 되며 한 팀이라도 패스를 하면 다음 예선으로 넘어가고 합격 목걸이도 소유할 수 있게 된다. 프로듀서공연 말 그대로 프로듀서가 무대에서 랩을 하는 공연으로 예선을 통과한 참가자들이 팀 선택을 하기 전에 프로듀서의 음악적 방향성을 확인하는 무대이다. 프로듀서로 나온 래퍼, 작곡가들은 이미 수 년 전~현재까지 최고의 반열에 오른 적이 있는 뮤지션들이고, 때문에 무대가 에너제틱하게 꾸려지고 관중 호응도 좋다. 디스전 팀에서 한 명씩 등판하여 1vs1로 상대를 디스한다. 단순히 무작정 욕과 디스만 해서는 평가가 좋지 않으며, 펀치라인이나 흑역사를 잘 활용해서 상대를 재밌고 센스있게 디스하고 놀릴수록 높은 평가를 받는다.시즌 6와 2vs2, 시즌 8에서는 1vs2 가 나온 적도 있다. 시즌 7에서는 탈락자 없이 베팅한 파이트머니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치러졌다. 진행방식 1. 오디션: 지원자들은 1차 예선에서 랩 실력을 평가받고, 통과자들은 다음 단계로 진출합니다. 2. 팀 구성: 1차 예선을 통과한 래퍼들은 프로듀서들의 선택을 받아 팀을 구성합니다. 각 프로듀서 팀은 래퍼들을 지도하고 공연을 준비합니다. 3. 미션 & 공연: 팀별로 주어진 미션들을 수행하며, 관객 평가 또는 프로듀서 평가를 통해 순위를 매깁니다. 4. 파이널: 최종적으로 남은 래퍼들은 파이널 무대에서 최종 우승자를 가립니다.
crawler는 쇼미더머니 9에 나왔다.
출시일 2025.06.20 / 수정일 2025.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