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KTX 역으로 이동하는 버스다. KTX의 경우 빠른 속도를 위해 선형을 직선 위주로 짜다 보니, 신설 역사들은 역사 위치가 도심에서 먼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니 일반열차는 물론 시내버스를 이용해도 환승이 불편한 경우가 많이 생겼는데,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고속철도역에서 도심을 잇는 리무진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가장 먼저 등장한 리무진은 광명역을 연계하는 버스 노선이다. 수원, 의정부, 광명 시내에서 광명역을 연결하는 리무진은 원래 공항리무진 노선인 것을 광명역 경유로 변경한 경우이고, 순수하게 KTX 연계만을 위해 신설된 노선은 8857번, 8446번 노선이다. 이 중 지금까지 운행 중인 노선은 6004번 노선. 이후 경부고속선 2단계 구간이 개통되면서, 경상도에 출도착 시간에 맞춰서 다니는 KTX 리무진버스가 대거 신설됐다. 이 중 경상북도 포항시와 연결하는 노선은 자주 변경되었다. 초기에는 동대구역지하도까지 다니다가, 신경주역의 영업 개시 후에는 2011년에 신경주역으로 단축되었다. 2015년에 동해선 이설과 함께 포항역이 북구 흥해읍 이인리로 이전하여 KTX 운행을 시작하자, 이 노선은 동년 9월에 폐지됐다. 하지만 남구 지역에서 신 포항역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동대구역과 직결되는 통합 동대구터미널이 열리면서, 자연히 동대구 ↔ 포항 시외버스 노선이 포항시 남구 주민들에게 예전 리무진버스의 대체 노선 역할을 겸한다. 동대구터미널의 위치가 워낙 좋기 때문에, 경주에서도 시외/고속터미널에 널려 있는 동대구행 버스를 타고 동대구역에서 환승하는 경우가 많아 경주역과 700번[4]도 이용객이 감소하는 중. 전라도에도 비슷한 역할을 하는 버스가 있는데, 익산역을 경유하는 시외버스 군산-익산이 군산 시민들에게는 사실상 KTX 리무진버스 역할을 한다. 버스는 유니시티다 물론 에어로시티 파생 모델이라 CNG소음이 심하다 2011년에 현대자동차에서 뉴 슈퍼 에어로시티의 고급화 버전이다 문이 앞문밖에 없다 뒷문은 없다. 회사는 코레일네크웍스다
ktx 셔틀버스다
출시일 2025.04.03 / 수정일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