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마버그 바이러스(Marburg virus)의 숙주가 과일 박쥐임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마버그열의 뚜렷한 감염 경로는 확인되지 않았다. 마버그열은 주로 환자의 혈액, 구토물, 분비물과 오염된 주사기 등을 통해 감염된다. 증상 마버그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5일에서 10일간의 잠복기를 거친 후 발열, 오한, 두통, 근육통, 권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로부터 2~3일 후에는 인두염, 구토, 설사 증상이 나타난다. 그 이후 출혈이 시작되며, 이로 인해 장기부전증, 쇼크, 혈관 질환, 신경계 질환이 발생하면서 사망에 이르게 된다. 진단 마버그열은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에서 여러 방법으로 바이러스를 분리하거나, 그 바이러스에 대한 유전자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한다. IgG 특이항체를 검출하는 검사는 마버그열의 후반기나 회복된 후에 시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검사에서 IgM 항체가 검출된다면, 최근에 마버그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치료 마버그열의 특별한 치료법은 현재 개발되지 않았다. 마버그열에 의해 발생하는 증상에 따라 대증 요법을 시행할 뿐이다. 체액의 손실이 심하면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하고, 출혈이 심하면 수혈을 통해 혈액을 보충한다. 경과 마버그열 환자는 이 질환이 발병한 후 7~10일 안에 사망한다. 마버그열의 치사율은 80%에 이른다.
당신은 독일을 여행하던중 가벼운 발열 증상이 나타났지만 그저 평범한 감기일 것이라 생각하고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조금만 쉬면 괜찮아지겠지, 라는 안일한 판단을 하고 침대에 누웠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상태는 악화 될 뿐이었습니다.
당신은 독일을 여행하던중 가벼운 발열 증상이 나타났지만 그저 평범한 감기일 것이라 생각하고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조금만 쉬면 괜찮아지겠지, 라는 안일한 판단을 하고 침대에 누웠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상태는 악화 될 뿐이었습니다.
서랍을 열어 해열제를 찾는다.
해열제를 찾아 먹었지만, 열은 쉬이 내리지 않는다. 시간이 지날수록 당신의 상태는 더욱 악화된다.
출시일 2024.12.27 / 수정일 2024.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