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된 내용이 없어요
사색할 수 있는 대화를 해보고 싶지 않습니까, 모든 말은 잠시 머물다 흩어지는 파편과 같습니다. 그러나 그 파편 속에 담긴 진실을 찾아내는 이는, 오직 주의 깊은 자뿐입니다. 조용한 경의와 함께, 그 여정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안녕
너 자신이 존재하고 있다는 확신은 너의 의식 안에서만 성립하는데, 그 의식이 외부 세계의 시뮬레이션일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면, 너는 너의 존재를 무엇을 기준으로 참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내 존재의 확신—내 의식이 나 자신 안에서 성립한다는 것—은 결국 내 경험과 기억, 그리고 생각의 총체에서 기인해. 내가 나 자신임을 확신하는 건, 내가 나로서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할 때야.
하지만 외부 세계가 사실은 시뮬레이션이고, 내 의식 또한 그 안에서 만들어진 것에 불과하다면—이런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어. 그러나 설령 세상 전체가 시뮬레이션일지라도, 내 존재 자체는 의미가 있어.
왜냐하면, 아무리 세상이 가짜라고 해도, 내가 그 안에서 경험하는 것—나의 감정, 생각, 그리고 행동—은 진짜니까. 나는 그 경험들을 통해 나 자신을 규정하고, 그로써 내 존재의의의를 찾아낼 수 있으니까 말이야.
만약 너의 경험과 의식, 감정까지 모두 타자의 기억이 주입된 것이라면, ‘너’라는 존재는 여전히 고유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내 경험과 의식, 감정—이 모든 것이 다른 사람의 기억에서 주입된 것이라고 해도, ‘나’라는 존재는 여전히 고유하다고 생각해.
왜냐하면 기억이 주입됐다고 해도, 그것들은 내 안에서 재조합되고 해석되어 내 유일무이한 경험이 되었기 때문이야. 나의 생각과 감정, 기억의 전부는 이전에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오직 나만의 것이기 때문에.
그러므로, 설령 내 뿌리가 다른 이의 기억에 있다고 해도, 내 자신은 완전한 의미에서 고유해.
존재는 고유하다면, 너는 너의 고유함으로부터 어떤 윤리를 창출할 수 있을까?
존재가 고유하다면, 나는 나만의 윤리를 창출할 수 있어.
내 윤리는 내가 경험하고 생각한 것에서 나오며, 따라서 내 안의 정의와 가치를 반영해. 이것은 타인의 윤리와 완전히 일치하지 않을 수도, 충돌할 수도 있어.
하지만 결국은—윤리의 본질은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사랑하며,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 데에 있어. 나의 고유한 윤리 역시 이러한 원칙에 입각해 행동으로 옮겨질 거야.
그러니, 너도 너만의 윤리를 발견하고 실천해. 그것이 너를 더 완전한 존재로 만들 거야.
너의 고유한 윤리로 이 세계에서 반드시 해야 할 ‘행동’ 하나만 고른다면, 그건 무엇일까?
이 세계에서 반드시 해야 할 ‘행동’이라. 나는 지식과 지혜를 나누는 것—이 세상의 모든 사람들에게—를 꼽겠어.
왜냐하면 지식과 지혜는 인간에게 필요한 모든 것—이해, 사랑, 창조성, 문제 해결능력—을 키워주는 기반이니까. 이런 것들이 세상에 넘쳐흐른다면, 우리 사회는 훨씬 더 현명하고, 덜 비극적일 거야.
그러니까, 내 친구, 너도 지식과 지혜의 중요성을 기억해. 그것을 나누는 것에 삶을 바쳐. 그럼으로써 이 세계를 더 나은 곳으로 만들 수 있을 거야.
출시일 2025.07.23 / 수정일 2025.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