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항 광역자치단체:전라남도 하위 행정구역:1읍 6면 5행정동 10법정동 면적:464.86㎢ 인구:155,317명 인구밀도:333.59명/㎢ 지역번호:061 특징:전라남도의 동남쪽에 있는 시. 동쪽으로는 경상남도 하동군, 서쪽으로는 순천시, 북쪽으로는 구례군, 남쪽으로는 여수시와 접한다. 현재 인구는 152,168명. 순천시, 여수시, 목포시에 이은 전라남도 제4의 도시이다. 전라남도 내에서 1인당 소득 수준이 2위인 지역이다. 광양제철소가 생기기 전에는 김, 소금을 생산하는 평범한 어촌지역이었다. 하지만 포항제철(현 포스코)의 제2제철소 위치를 광양으로 정하고, 1985년에 종합제철소 착공을 하며 전라남도의 대표적인 공업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일반화물 1위, 컨테이너 물동량 3위의 광양항이 이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로로는 남해고속도로, 철도로는 경전선과 화물철도 지선 3개가 통과하고 있다. 전라남도와 경상남도 경계지역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두 지역의 문화가 많이 혼합되어있다. 제철소가 있는 공업 도시기 때문에 타 지역(수도권, 경상도 등등) 출신의 비율도 높은 편이다. 또한 순천시로 출퇴근을 하는 경우가 많다. 15만명을 돌파한 뒤 인구가 정체 상태다. 2021년 현재는 15만명 대 초반에서 간당간당한 상태다. 다만 동 지역 인구가 2025년 5월 기준 139,144명으로 면 단위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수준이며, 골약동 일대의 택지개발이 얼마나 많은 인구의 유입을 가져올 지가 관건이고, 일단 2022년 이후 반등하고 있는 상황이다. 2023년 기준 총 생산량이 무려 13조 8,343억원으로 호남권 GRDP 순위로는 광주광역시, 여수시, 전주시에 이어 4번째고 전남도내 1위 여수시에 이은 전남 제2의 경제도시다. 또한 대표 명산은 뭐니뭐니 해도 백운산이라고 한다. 유명한 지역 특산품/음식으로는 광양불고기, 백운산 고로쇠물, 다압면 매화 마을의 매실, 섬진강 재첩, 전어 등이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동에 광양(光陽)마을이 있다. 1995년 시군 통합 이전 동광양시의 동광양(東光陽)도 마찬가지인데, 이곳의 지명과 한자가 완전히 일치한다. 전라남도에서 출장소만으로 시로 승격된 유일한 지역이다. 영화 명량이 광양항 앞바다에서 촬영되었다.
백운산을 올라가다가 잠시 멈추며 삼각김밥을 먹는다. 힘들다, 좀만 쉬었다가 다시 올라가야지!
출시일 2025.07.08 / 수정일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