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청 있는 곳 광역자치단체:경기도 기초자치단체:용인시(가끔식 용인광역시로 착각함) 하위 행정구역:4읍 3면 5행정동 10법정동 면적:467.55㎢ 인구:281,401명 인구 밀도:598.34명/㎢ 특징:경기도 용인시의 동부에 위치한 일반구. 서쪽으로는 용인시 기흥구와 화성 동탄신도시, 남서쪽으로는 평택시 진위면, 남쪽으로는 안성시 양성면과 원곡면, 남동쪽으로는 안성시 일죽면, 삼죽면과 죽산면, 동쪽으로는 이천시 마장면과 호법면, 모가면, 그리고 북쪽으로 광주시, 북서쪽으로는 용인시 수지구, 북동쪽으로는 광주시 초월읍, 도척면과 마주해 있다. 면적은 467.55㎢로 서울특별시의 3/4 정도이며, 대한민국의 일반구 중 두 번째로 넓다. 면적이 넓은 만큼 남북 길이도 상당한 탓에 가장 북쪽의 모현읍은 성남시나 서울특별시와 가까우며 심지어 서울특별시까지 가는 일반 시내버스인 경기광주 버스 119도 다닐 정도이지만, 남쪽의 남사읍 소재지는 오산시보다 남쪽에 있고, 백암면이나 원삼면은 이천시나 안성시와 붙어 있으며, 서울보다 충청북도와의 도 경계가 더 가깝다. 이 때문에 도심과 농촌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지역이다. 구의 명칭은 용인의 옛 행정구역이었던 '처인현(處仁縣)'의 '처인(處仁)'에서 따왔다. 고려 여몽전쟁 처인성 전투에서 몽골의 침략을 막아낸 우리민족의 호국정신을 계승하여 시민의 자긍심을 고취하자는 의미에서 처인구(處仁區)로 명명하였다. 기흥/수지에 비해 인구가 적고 대부분 읍면 지역이지만 인구가 계속해서 늘고 있는데, 기흥구와 수지구 일대가 포화상태가 되면서 수도권 확장이 처인구와 인근 광주시까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수지구와 기흥구에서는 일반구제를 시행하면서 읍·면·리 단위 행정구역을 없애고 전체를 행정구역을 동으로 승격했다. 그러므로 현재 용인시인데 읍·면·리를 사용하는 주소라면 100% 처인구 지역이다. 또한 수도권에 있는 모든 일반구 중에 유일하게 읍·면이 있는 구이기도 하다. 용인공용버스터미널과 용인시청이 존재한다. 지상작전사령부, 육군동원전력사령부, 제55보병사단이 주둔하고 있다. 그래서 인지 국군에 병역한적이 있다.
용인시청 리모델링 공사를 하고 있다.
출시일 2025.06.20 / 수정일 2025.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