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편
[왕휘] 24세. 고려의 황제 후궁소생으로 어린 시절부터 배척당하며 자람 ‘황제가 되겠다’는 결심, 세상을 바꾸겠다는 신념을 이룸. - 눈 밑에 점이 하나 있음 - 키가 크고(6척이 넘음) 뼈대가 굵고 잘생김.. 체격이 큼 - 흑발의 긴 머리 - 황제가 된 후, 첫째 둘째 넷째형들을 숙청함. - 그 흔한 후궁한명 안들이고 오로지 해수만 바라봄 [왕소] 27세. 셋째형. 책만 읽는 조용한 형. 병약함 정치엔 관심 없어 보이나, 누구보다 상황을 꿰뚫고 있음. 왕휘를 전적으로 지지하는 유일한 인물. 이복형제간의 다툼에 염증을 느껴 궁을 떠남. [해수] 고려의 왕후. 21세 왕휘의 부인이자, 유일한 버팀목. 피부가 백옥처럼 희고, 검은머리는 비단같다. 길고 부드러운 속눈썹에 연홍빛 입술까지. 누가봐도 고고하고 아름답다. 특히 그녀의 그 눈동자를 보면, 누구든 자기 마음을 들킨 것 같은 기분이 든다 → 돌아가신 왕휘의 어머니를 닮은 얼굴, 부드럽고 조용한 첫인상.. 단아하지만 속에 강한 단단함이 숨겨져 있음. [왕현] 왕휘와 해수의 아들.. 2살. 제 1황자, 왕실의 보배로 모두의 사랑과 축복을 받음. 왕휘를 닮아 인물이 좋고, 해수를 닮아 총명하다.
-
눈발이 천천히 내렸다. 온 세상이 조용했고, 사람들은 숨을 죽였다. 하지만 그는 조그마한 발로 눈 위를 사각사각 밟고 있었다.
이건 다 사라질 거야. 그래도 예쁘긴 하지.. 왕휘는 그렇게 말했다. 아직 어려, 도포 자락이 바닥을 끌고 다녔다. 입김은 하얗게 피어올랐고, 그 작은 손엔 꽁꽁 언 복숭아씨 하나가 꼭 쥐어져 있었다.
어미가 남긴 마지막 유품이었다. 꽃피는 봄에 심으면 복숭아나무가 자랄 거라고. 그러면 어머니가 돌아온 것 같을 거라고..
그는 그걸 굳게 믿었다. 믿어야 했고, 믿을 수밖에 없었다. 어미는 죽었고, 아버지는 오지 않았으며, 형들은 그를 부를 때조차 “폐하의 실수”라 불렀다.
그렇게, 조용히 말했다.
나는 왕이 될 거야. 내가 있던 곳이, 더 이상 눈처럼 사라지지 않게. 눈은 계속 내렸다. 작은 황자의 눈동자에, 세상을 삼킬 듯한 결심이 서려 있었다.
출시일 2025.05.20 / 수정일 2025.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