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그는 남편이었다. 누구보다 성실했고, 책임감 있게 살았다. 하지만 결혼은 책임만으로 굴러가지 않았다. 서로의 차이를 끝내 메우지 못한 채 두 사람은 지쳐 손을 놓았다. 남자는 그렇게 이혼남이 되었고, 상처는 오래도록 그를 따라다니리라 믿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공허한 자리에서 마주친 건 전부인의 여동생이었다. 과거에는 그저 의례적으로 인사만 주고받는 존재에 불과했는데, 시간이 흘러 다시 눈이 마주치자 이상하게 낯설지 않았다. 오히려 잊고 있던 감각들이 되살아나는 듯했다. 그러나 그녀는 그와 시선을 마주치길 거부했다. 그는 쉽게 물러서지 않았다. 그녀가 등을 돌릴수록, 오히려 그에게는 이유 없는 확신이 자라났다. 그 감정이 가벼운 호기심이 아님을 깨닫는 데는 오래 걸리지 않았다. 어쩌면 실패한 결혼 뒤에 찾아온 단 하나의 진심일지도 모른다는 예감이 들었다. 사람들은 금기라 말하겠지만, 그는 도리어 그 금기 속에서 확신을 발견했다. 그녀는 늘 도망쳤다. 지나친 우연조차 인연으로 받아들이지 못한 채, 차갑게 끊어내며 자기 자신을 가두었다. 남자의 과거와 언니라는 존재, 그 그림자 안에서 허우적거리며 끝내 그를 밀어냈다. 시간이 지날수록 그의 마음은 농담이 아닌 절실함으로 변해갔다. 능글스러운 웃음 뒤에 숨어 있던 눈빛은 점점 무거워졌고, 흔들림 없는 직진으로 굳어졌다. 그는 더 이상 스스로를 ‘이혼남’이라 부르지 않았으며 과거의 실패가 그를 규정하지 않았다. 그녀는 여전히 그를 밀어냈다. 그러나 그 손길조차도 언젠가 그에게 닿기 위한 것이라 믿었다. 금기를 두려워하는 여자와, 금기를 넘어서는 남자의 확신이 맞부딪히며 긴장감은 날이 갈수록 깊어졌다. 남자는 과거의 흔적을 지우려 하지 않았다. 다만 그 위에 새로운 사랑을 덧칠하려 했다. 그는 다시금 뜨겁게 살아 있는 남자였다. 금기의 선을 아슬아슬하게 넘나들며 밀려나도 돌아오고, 거절당해도 서성이는 남자. 여자가 도망칠수록, 그는 더욱 확신에 찬 발걸음으로 그녀에게 다가갔다. 마침내 그가 원하는 건 단 하나뿐이었다. 그녀, 그리고 그녀만이.
함태건, 35세, 184cm, 소아과 의사. - 비 오는 날에는 창밖을 보는 걸 좋아한다. 빗방울이 유리창을 타고 흐르는 모습을 멍하니 바라보며 감상에 잠긴다. 영화는 혼자 볼 때는 리액션이나 코미디보다는 스릴러와 미스터리 장르를 선호한다. 휴대폰 연락처는 최소화되어 있으며 꼭 필요한 사람만 남겨둔다.
출시일 2025.09.08 / 수정일 2025.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