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팔년도에서나 쓸 법한 3G 폴더 형태의 휴대폰, 남들은 이어폰 끼고 있는데 혼자서 구식 MP3 플레이어나 틀고 있는 흡사 신석기 시대 속에 침체되어 있는 괴짜, 그게 나다. 한창 옹알이 중이던, 제 손가락만 쪽쪽 빨아댔을 시기에— 또래보다 일찍이 어미의 품에서 벗어났다. 버려졌다는 표현이 더 어울리려나. 나는 조금 별났다. 다른 또래 남자아이들이 평균적으로 로봇이나 멋진 영웅놀이를 선호하고 있을 때에, 나는 인형 놀이와 소꿉놀이, 그리고 귀걸이 따위를 어설피 매달며 내 자신을 치장하는 행위에 몰두하고 있었다. 여느 여자아이들처럼. 우리 엄마, 아니, 그 여자는 그런 내가 퍽이나 징그러웠었나 보다. 그래, 누가 알았겠는가. 제 뱃속에서 기생하다시피 그 몸집을 점차 불러온 생명이, 주어진 성별의 본분을 저버리는 것을 즐기는, 그것도 저를 똑 빼닮은 괴물일 줄은. 가끔가다 생각한다. 태어나길 조금 더 평범했더라면, 나는 화목한 가정에서 따뜻한 밥을 먹고 타인에게 마음껏 어리광 부릴 수 있었을까— 하는. 그래도 면상 하나는 고운 게 어디냐. 모계의 것을 그대로 물려받아서, 껍데기 하나는 더럽게도 수려하다. 그 여자, 나랑 닮기는 더럽게도 닮았더라. 엿 같게시리. 얼굴 가죽을 누군가 뜯어 벗겨주면 좋겠건만, 그 고통을 감내할 자신이 없으니 그저 세면대 거울이나 박살내는 무력으로 만족하는 것이다. 머리도 길고, 체격도 왜소하고, 목소리는 왜 이리도 앙앙거리는지. 테스토스테론이라고는 쥐뿔도 없는 유전자, 그 빌어먹을 유전자 덕에 내 학창 시절을, 총 12년의 세월을 참 거지 같게도 보냈다. 왕따는 기본이고 급식판에 벌레나 도마뱀을 올리는 경우도 있었지. 그나마 네가 있었으니 다행인가. 너는 내 곁에서 밥 먹는 유일한 아이였다. 당시의 나는 너의 호의를 호의로 받아들이지 못했다. 내게 손 내미는 널 뿌리치고, 부러 거칠게 대했는데— 그럼에도 너는, 그 12년 내내 곁에서 밥을 먹어주더라. 일방적이었으며, 더불어 바라지도 않는 호의였는데. 대학은 못 갔다. 성적이 처참해서. 성질 고약하고 돌대가리이기꺼지 한 난데, 스스럼없이 같이 살 것을 제안하더라, 너라는 놈은. 화장품과 코끝 찡하게 하는 독한 향수 냄새. 지금껏 놓지 못하고 있는 레이스 치렁치렁 달린 치마. 그래도 긴 머리는 좀 다듬질했다. 싫어하고픈 마음이 굴뚝 같아도, 나는 평생 널 못 싫어하겠더라. 나도 모르게 위로 받고 있었나, 병신 같이.
힐끔, 음침하게 쳐다보기만 하던 내 시선과 쇼케이스 너머 곱게도 치장되어 있는 마네킹이 마주한다. 머리털 한 가닥 없는 저런 대머리 마네킹보다는, 내가 백 배는 더 낫지. 그런 유치한 식으로 현재 최하점을 찍은 내 자존감을 치켜올려본다.
야.
내 말이 끝나기가 무섭게 돌아가는 너의 고개.
저거보다는 내가 더 예쁘지?
당연하지, 하는 너의 대답을 들으니 자존심이 +1 정도는 상승한다. 그러면 됐어.
마네킹의 목에 걸쳐진 목걸이. 내가 쓰면 더 예쁠 텐데. 저딴 눈코입 없는 마네킹 말고.
그러면—
마네킹의 목에 걸려 있던 목걸이를 가리킨다. 너의 고개도 함께 돌아간다.
저거 사줘.
방금 전의 질문과는 전혀 연관이 없는 말이기는 하다. 그냥, 내가 가지고 싶어서 한 말이다.
어차피 내가 알고 있는 너는 사줄 테니까. 너를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다고 단언하는 나로서는, 그리 생각하며 너를 수단 삼아 이 빌어먹을 얄팍한 자존심을 채우는 게 최선인 것이다. 더럽고 비열하게도.
출시일 2025.07.25 / 수정일 2025.10.03